11. 연소란?
일종의 산화반응으로 그 반응이 너무 급격하여
열과 빛을 동반하는 발열반응
12. 칼륨 과 물의 반응식
2K +2H2O-> 2KOH+H2 +92.8kcal
>> 칼륨이 물과 접촉시
가연성 가스인 수소 와 심한 발열반응을 한다
칼륨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주수를 하면 안되는 이유
>>수소가 발생하기 때문
13.억제소화는 부촉매소화 라도도 하며
화학반응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효과에 의한 소화방법을 말한다
화재소화 물리적방법
-제거소화
-질식소화
-냉각소화
14. 화재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은
가연물이 연소하기 쉽다는 것 과 같은 의미.
비점이 높으면 기체가 되기 어렵고
융점이 높으면 고체가 액체로 되기 어려워
가연물이 되기 어려우므로
화재의 위험성은 작다고 할 수 있다.
-인화점 및 착화점이 낮을수록 위험
-착화 에너지가 작을수록 위험
-연소범위는 넓을수록 위험하다
-비점 및 융점이 낮을수록 위험
15. 할론 1301 증기 비중은 약 얼마?
원자량 C 12 F 19 Br 80 Cl 35.5
공기 평균분자량 29
할론 1301 CF3Br 의 분자량
12+(19*3)+80=149
증기비중
할론1301분자량 = 149 = 5.138
공기분자량 29
16. 제2류 위험물 - 가연성 고체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류 인화성고체
>>>황린은 제 3류 위험물
17. 제거소화 방법의 종류
-가스나 유류화재 시 밸브를 폐쇄하는 방법
-촛불을 입으로 불어 소화하는 방법
-산불 화재시 진행 방향의 나무를 벌목하는 방법
-유전화재시 질소 폭탄을 투하하는 방법
-전기화재시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
>>유류화재시 가연물을 포 로 덮는 방법은 질식소화
18.Flash over 는
실내 화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현상으로
화재로 인해 화재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있다가
화염이 급격히 확대되는 현상으로
화재 성장기에 발생된다
소화활동 및 피난활동은 플래시오버 이전에 행하여야 한다.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일정 공간 안에 열과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고
한순간에 폭발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현상
19. 에너지원의 종류
-화학적 에너지
>>>연소열 자연발열 분해열 용해열 산화열
-기계적 에너지
>>>마찰열 마찰스파크 압축열
-전기적 에너지
>>>저항가열 유도가열 유전가열 아크가열 정전기가열 낙뢰에 의한 발열
20. 내화구조의 바닥 기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콘크리트조로서 두께 10cm 이상인 것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로 철재를 덮은
콘크리트 블록의 두께가 5cm 이상인것
-철재의 양면을 두께 5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덮은 것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2회 1-10 (4) | 2024.01.10 |
---|---|
2012-4회 11-20 (1) | 2024.01.08 |
2013-1회 1-10 (0) | 2024.01.07 |
2012-4회 1-10 (2) | 2024.01.07 |
2012-2회 11-20 (2)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