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4. 세계 당뇨병의 날
세계 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 매년 11월 14일) :
전세계적으로 늘어나는 당뇨병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당뇨병연맹(IDF)이 공동으로 제정한 기념일,
이후 국제연합(UN)에서 각국 정부에 대해 당뇨병의 예방,
관리 및 치료,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범국가적인 정책을 시행하도록 촉구하면서
국제적 캠페인으로 정착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는 경우
뇌졸중, 심근경색증, 만성신장병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
2위(심장질환), 4위(뇌혈관질환), 7위(당뇨병)
-통계청, 2023 사망원인통계
우리나라 성인(30세 이상)의 당뇨병 유병률
-21년 16.3%로 약 600만 명
당뇨병 전단계(46.7%, 약 1,695만명)까지 포함시
전체 성인의 절반 이상(63.0%, 약 2,295만명)
당뇨병 유병률 :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 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거나, 당화혈색소 6.5% 이상
당뇨병 전단계 유병률 : 당뇨병 유병자가 아니면서
공복혈당이 100-125mg/dL 또는
당화혈색소가 5.7% 이상 6.4% 이하
<당뇨병 진료비 지출>
22년 단일상병 기준으로 고혈압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음
급격한 고령화(’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추세와
젊은 연령층의 비만이 증가하면서
당뇨병 진료실 인원도 지난 10년 간 67.0% 증가
진료비 지출 :
본태성 고혈압(4.3조원)>2형 당뇨병(3.0조원)>만성신장병(2.5조원)
당뇨병 인지율과 치료율은 ’19-’21년 기준
각 67.2%, 63.0%로 ’11년 이후 약 8%p 증가․개선
(각 60.8% → 67.2%, 54.3% → 63.0%)
-당뇨병 유병자 중 조절률은 25% 수준으로 정체-
<당뇨병 조절을 저해하는 요인>
-흡연과 탄수화물 섭취 비율(남자)
-비만(여자)
<위험인자>
■ 과체중 또는 비만(체질량지수 23kg/m2 이상)
■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
■ 직계가족(부모, 형제자매) 중 당뇨병이 있는 경우(당뇨병 가족력)
■ 당뇨병 전단계(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 임신당뇨병이나 4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환자
■ 인슐린 저항성(다낭난소증후군, 흑색가시세포증 등)
'All aou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대왕함 최신예 이지스구축함 (0) | 2024.11.29 |
---|---|
고추 탄저병 방제 자생 방선균 (0) | 2024.11.20 |
마약밀수 적발량 (0) | 2024.11.06 |
수소도시 울산 안산 전주 (0) | 2024.11.04 |
선유2호 이모작 콩 (1) | 202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