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띠큰바다뱀 밤수지맨드라미 를 아세요?
국립공원 섬지역을 대상으로 수중생태계를 조사한 과정 중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
[넓은띠큰바다뱀]과 [밤수지맨드라미]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소간여와 거문도 인근 해역에서 각각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소간여?>
전남 여수 향일암에서 남쪽으로 34km 떨어진 무인도서
[넓은띠큰바다뱀]
형태적 특징: 배의 노(boat paddle) 모양인 꼬리와 몸 전체에 푸른빛이 나는 “V” 모양의 줄무늬가 특징
생태적 특징: 주로 바닷속에서 생활하나 육지에서 번식과 산란 그리고 탈피
일반 독사보다 20배 이상 강한 맹독
먹이원으로 뱀장어나 한 두개과의 어류, 어류의 알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서는 소형 어류(자리돔, 놀래기 등)를 섭식하는것으로 알려진다.
[밤수지맨드라미]
산호충류에 속한다.
붉은색의 촉수를 모두 펼쳤을 때 밤송이를 닮은 모양을 하고 있다. 주로 수심 5~25m에 서식.
호충류는 부착하여 생활하며 수온에 민감한 해양생물로 알려져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 연구에 중요한 분류군이다.
[국립공원 해역에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원인]
국립공원 해역에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의 유입은
따뜻한 쿠로시오해류의 지류인 대마난류의 영향이 큰 것.
제주도 해역의 표층수온이 36년간 2℃ 증가
제주남부해역에 위치해 있던 20.3℃ 등온선도 30년간 50~100㎞ 북상
기후변화에 의해 수온이 상승하고 난류가 확장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이 국내 해역으로
유입, 정착하고 해양생물의 서식처가 북상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열대>
월평균기온이 20℃이상인 지역으로 적도를 사이로 남북 회귀선 사이에 있는 지대
열대 지역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약 26~28℃ 임
<아열대>
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역인 북위 16~32도, 남위 16도~32도 사이를 통칭
일반적으로 연 평균 해수면의 온도가 20℃ 이상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 68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 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 214종
사건번호란 ? 사건번호 의미
#사건번호 사건번호란? 사건번호란, 법원에서 사건의 종류와 심급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하는 번호입니다. ...
blog.naver.com
24년 한국경제 전망 알아보기
[현재평가] 반도체를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여건은 여전히 불확실한 모습 미국의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중동 정세 불안이 고조되며 대외 불확실 [서비스소비] 완만한 증가
free-travel-memory.tistory.com
'All aou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폐렴 신종아니다 중국정부 (2) | 2023.11.29 |
---|---|
느티나무 노거수의 광합성저하의 원인 (2) | 2023.11.28 |
극동지역 원자력발전소 건설시 한국영향 (2) | 2023.11.26 |
정부24먹통 원인을 모르는데 재발방지? (0) | 2023.11.25 |
영국과 무탄소에너지(CFE) 협력추진 (3)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