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의약품 품목갱신 통계
의약품 품목갱신 통계 [의약품 품목갱신 제도] 허가·신고된 의약품에 대해 5년 주기 ▲안전성·유효성 등 안전관리자료 ▲품질관리자료 ▲표시기재자료 ▲제조·수입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갱신 여부 결정 갱신율(%) : (5년간, ’18-’22) 59% → (’23) 73% (상반기 63%, 하반기 84%) 의약품 총 39,538개 품목 중 15,979개 품목(40%)이 정리되어 (유효기간 만료(업체가 품목갱신 미신청), 업체가 품목 취하 등) 23,559개 품목(60%)이 갱신되었다. 갱신 대상 의약품은 총 6,562개 품목, 이 중 1,751개 품목(27%)이 정리되고 4,811개 품목(73%)이 갱신. -2023년 갱신율(73%)은 지난 5년간(’18∼’22) 평균(59%)보다 높은 수준 -..
우리나라에 도래한 겨울철 조류 130만 마리
우리나라에 도래한 겨울철 조류 130만 마리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의 물새류가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은 것을 확인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밝혔다. 2015년부터 전국 200곳의 습지를 대상으로 겨울철 조류 동시조사(센서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10년(2015~2024년)간 동시조사를 분석한 결과, 오리류가 연평균 81만 마리(6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러기류(23만 마리, 17.7%), △갈매기류(12만 마리, 9.6%)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넓은 농경지와 호수, 저수지, 강에 서식하며, 하천이 많은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의 △금강호, △동림저수지, △철원평야, △만경강, △임진강 등에서 겨울을 보냈다. 10년 평균으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가창오리(37만 3,946마리)..
교육비지출 얼마 하고 있나요?
교육비지출 얼마?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학교 밖에서 받는 보충교육을 위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 원수강, 개인과외, 그룹과외, 방문학습지,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의 수강료(교재비 포함) 지출 비용을 의미. 방과후학교 비용, EBS 교재비, 어학연수비 등은 사교육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학교급별] 초등학교 12조 4천억원, 중학교 7조 2천억원, 고등학교 7조 5천억원 -전년대비 초등학교 4.3%, 중학교 1.0%, 고등학교 8.2% 증가 -학생수 변화: (’22) 528만명 → (’23) 521만명(7만명, 1.3% 감소) 전체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초등학교 39만 8천원(2.5만원, 6.8%↑), 중학교 44만 9천원(1.2만원, 2.6%↑), 고등학교 49만 1천원(3..
기후변화와 흙의 날 매년 3월 11일
농업의 근간이 되는 흙의 소중함과 보전의 필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하여 매년 3월 11일을 흙의 날로 제정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에 적합한 기념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함 우리나라에서 숫자 3은 우주를 구성하는 천(天), 지(地), 인(人) 3원을 상징하며, 농업·농촌·농민의 3농, 뿌리고, 기르고, 수확한다는 3농을 의미 흙(土)을 상징하는 11일(十 + 一 = 土)을 흙의 날로 정함. International Year of Soils(국제 토양의 해)은 유엔식물보호기구(FAO)가 선포한 캠페인으로, 토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토양보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되는 해. 캠페인은 토양이 식량 생산, 물 공급, 기후 조절, 생물다양성 보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
꼬리풀 베로니카 정원식물
꼬리풀 ? 꼬리풀은 외국에서는 베로니카(Veronica)라고 불리며 푸른색, 보라색 꽃들이 마치 동물의 꼬리 모양처럼 생긴 여러해살이 식물 다양한 색깔의 꽃이 피는 초화류로 정원식물로 인기 우리나라에는 총 9종이 기록 꼬리풀, 구와꼬리풀, 큰구와꼬리풀, 봉래꼬리풀, 산꼬리풀, 긴산꼬리풀, 넓은산꼬리풀, 섬꼬리풀, 부산꼬리풀 등이 있다. 오랫동안 개불알풀속(Veronica)으로 다루어졌으나 최근 연구에 의해 꼬리풀속 (Psedolysimachion)으로 변경. 여러해살이풀로 동물 꼬리 모양을 닮은 꽃이 인상적이며, 종에 따라 분홍색, 보라색, 자주색, 푸른색 등 꽃색이 다양하다. 정원에서는 햇빛이 잘드는 곳, 나무 아래, 바위 정원, 하층 지피식재 등 다양한 곳에 심어 감상할 수 있다. 키가 크고 꽃이 위..
아까시꿀 위건강에 좋아요
‘아카시아나무’와 ‘아까시나무’는 다른 품종입니다! 아까시꿀’은 아까시나무에서 나온다 아까시나무의 종명은 ‘유사아카시아’라는 뜻의 ‘슈도아카시아(pseudoacacia)’로, 국내에는 19세기에 처음 도입 한국전쟁 이후 산림 녹화사업을 통해 대량으로 산에 심어지며 ‘유사(pseudo-)’라는 뜻이 생략되고 아카시아로 불리기 시작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꿀의 70%를 차지하는 아까시꿀 특유의 향을 지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대중적인 꿀 [국산 아까시꿀] 단당류인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뤄져 흡수가 빨라 피로 해소에 도움 비타민 비(B)1과 비(B)2, 비타민 비 복합체인 니아신과 칼슘, 구리, 철, 포타슘(칼륨), 마그네슘, 망간, 소듐(나트륨), 인, 아연, 황 등 우리 몸에 이로운 무기물이 함유 프롤린, ..